어린 시절에 나는 조용한 가을 밤에 창 너머로 들려오는 귀뚜라미 울음소리를 들으며 이렇게 중얼거리곤 했다.
"별들이 총총거리며 울고있구나..."
삼십 년 후, <결혼은 미친 짓이다>의 작가 이만교가 쓴 <글쓰기 공작소>라는 책을 보다가 비슷한 생각을 한 시인이 있음을 비로소 알게되었다. 그 시에 대해 이만교 작가는 이렇게 평했다.
[...이렇게 아이처럼 순진한 시청각적 상상이, '귀똘이들이 별의 운행을 맡아가지고는 수고로운 저녁입니다'와 같은 시구를 낳게 만들었을 것이다.]
정육점을 운영하시는 한 선배님으로부터 다량의 고기가 배송되었을 때, 나눔의 실천을 위해 기쁜 마음으로 현자 K선생에게 전화를 드렸다.
"랍비시여, 저에게 먹음직스러운 소고기가 있사오니 언제 시간되실 때 오셔서 시식 좀 하지 않으시렵니까?"
그리하여 시식의 날이 오고, K선생께서 왕림해 주셨다.
후배 아쿠마(별칭)는 기다렸다는 듯이 소고기에 필요한 온갖 양념과 식재료들을 마트에서 잔뜩 사왔다.
군침을 흘리는 이분들 앞에 냉동실에서 꺼낸 고기를 내민 순간, K선생께서 경악하며 말씀하시기를,
"이게 무슨 소고기야!!!"
이후에 나는 돼지고기와 소고기를 구분하지 못한다고 선생으로부터 `모지리` 소리를 지속하여 듣게 되었다.
지난 주에 술 한잔 했을 때, 선생께서 내게 안타까운 눈빛으로 말씀하셨다.
"젊은 날의 총기는 다 어디 가고 왜 이렇게 됐냐.... "
기억에는 없지만, 이렇게 변명했을지도 모른다.
빌어먹을 사랑이 내 총기를 다 갈아 마셔버렸습니다...
출출하던 차에 어떤 지인 분께서 주신, 냉동실에 보관해 둔 떡을 꺼내 전자렌지에 돌렸다. 2분 후에 그것을 꺼냈더니...전부 물처럼 질척대는 것이 아닌가.
글타.
이것은 떡이 아니라 아이스크림이었던 거다.
청각적 대상을 시각적 대상으로 확대할 줄 알았던, 공감각적 상상력으로 충만했던 과거의 나는 어디로 가고 시각적 대상조차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는 현실감 부재의 멍청이만 남겨진 것인가.
다발성연애경화증이 삼켜버린 총기는 어떻게 회복될 수 있을까.
봄날은 간다.